고스트 프로(Ghost pro) Starter 플랜에서 구글 애드센스 ads.txt 설정하는 방법

고스트 프로는 티스토리, 브런치, 네이버블로그 등 유수의 포털 블로그 서비스나 세계 1위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조금씩 대체해가고 있는 블로그 호스팅 서비스다.

블로그 프로그램 설치부터 호스팅 유지 보수 관리 일체를 고스트 프로가 전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말 그대로 글만 쓰면 된다. (이거 진짜 진짜 편리한 거다) 티스토리랑 조금 비슷하긴 한데, 최근 티스토리가 자체 광고를 붙이면서 구글 애드센스 등 블로그 광고 매력이 엄청 떨어진 점을 생각할 때, 솔직히 고스트 프로만한 대안은 없어 보인다.

고스트 프로는 유료 서비스다. 그 가격은 다음과 같이 매월 9달러부터 시작한다. (연납 기준)

고스트 프로 플랜 가격(2025. 5. 17. 현재 연납 기준)

보통 개인 블로그로는 Starter 플랜(연납기준 매월 9달러)이나 Creator 플랜(연납기준 매월 25달러)으로 충분하다. 그 둘의 결정적 차이는 Starter가 기본 Theme만 사용해야하는 반면, Creator는 커스터마이징된 Theme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Starter의 경우, 고스트 프로에서 제공하는 몇가지 기본 Theme을 전혀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처럼 구글 애드센스를 사용하는 경우, 광고 게시 사이트 인증의 필수인 ads.txt를 Theme에 삽입할 수 없다. (정확히 표현하면 ads.txt를 포함한 Theme은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Starter와 Creator의 가격 차이는 매월 무려 16달러나 된다. (1달러당 원화가 1,300원이라고 했을 때, 무려 20,800원이다.. 헐.) 나처럼 기본 Theme 만으로도 충~분한 사람들에겐 단순히 ads.txt 하나 추가하는 댓가로 지불하기에는 커도 너무 크다. ㅠ (ads.txt 추가하는 것이 디자인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하고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냈다.

  1. 깃허브(https://github.com)에 계정을 열고, 새로운 repository를 public으로 만든다.
    (아래 이미지에서는 새로 추가하려는 repository 이름이 중복된다고 나오는데, 이것은 내가 실제 작업을 해보고 성공한 후에, 다시 절차를 밟아가며 이미지를 캡쳐했기 때문임)
깃허브에서 계정을 열고, 레파지터리를 public으로 만든다.

  1. 아래 이미지에서 화살표 부분을 클릭하면 'Upload files'가 나오는데, 이를 이용하여 ads.txt를 업로드한다. 그러면 그 아래 박스처럼 ads.txt가 업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ds.txt를 업로드한다.

  1. ads.txt 안으로 들어가서 아래 화살표의 Raw를 클릭하면, ​​ 방금 업로드한 ads.txt에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주소를 알 수 있다.
방금 업로드한 ads.txt의 Raw를 클릭해보자.
그러면 ads.txt에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주소가 나온다.

  1. 그 주소를 복사해서 아래와 같이 redirects.yaml을 만든다. (아래 내용이 전부임. 첨부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수정하여 사용하면 됨.)
301:
  /ads.txt: https://(ads.txt에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주소)

  1. redirects.yaml 파일을 ghost pro Labs > Redirects > Upload redirects file에 올린다. (Routes 아님 !!!)
고스트 프로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서 작업한다.

  1. 이제 https://(자기 도메인)/ads.txt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깃허브로 자동 연결되며, ads.txt의 내용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소창에 ads.txt를 붙여서 치게 되면...
ads.txt로 바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작업이 끝났으면, 구글 애드센스에서 ads.txt를 감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도 전혀 문제없다.

#250550


Read more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4)] 탄핵과 구속의 끝은: '화수미제(火水未濟)'

첫번째 글에서 ‘천산둔’ 괘가 경고한 교만함, 두번째 글에서 ‘택화혁’ 괘가 보여준 무모한 혁명적 시도, 그리고 세번째 글에서 ‘수뢰둔’ 괘가 상징한 혼란과 난관. 이 모든 여정의 끝은 결국 주역의 마지막 괘, ‘화수미제(火水未濟)’로 귀결되었다. ‘미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어떤 것도 온전히 마무리 짓지 못하고, 모든 것이 불완전한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3)] 민주주의에 막히다: '수뢰둔(水雷屯)'

앞에서 우리는 윤석열 정부가 무모한 '혁명'을 꾀하며 '택화혁' 괘의 지혜를 외면했음을 살펴보았다. 성급하고 준비되지 않은 반민주적 혁명적 시도는 결국 파국으로 치달았다. 그리고 그 파국이 남긴 것은 극심한 혼란과 정체, 곧 주역의 '수뢰둔(水雷屯)' 괘가 상징하는 난관과 혼돈의 상황이었다. '둔(屯)'은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2)] 파국으로 치닫는 밤: '택화혁(澤火革)'

앞 글에서 우리는 윤석열의 대통령 당선 초기에 보였던 교만이 '천산둔' 괘의 경고를 외면했음을 이제 안다. 그 교만은 단순한 개인적 문제를 넘어, 점차 권력의 오만함으로 발전하며 급기야 돌이킬 수 없는 파국적인 시도를 낳고 말았다. 2024년 12월 3일 선포된 비상계엄은 단순한 정치적 해프닝을 넘어,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변화이자 사건&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1)] 윤석열의 대통령 당선과 교만: 천산둔(天山遯)

2024년 12월 3일 22:00 대한민국에서는 5. 18. 이후 40여년만에 비상계엄이 발령되었다. 개인의 정치 이념을 떠나,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비상계엄이라는 어마어마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 자체는 우리에게 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그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 제2, 제3의 12.3 계엄을 막아야하는 민주시민의 책무가 있다. 이제 곧 시작될 개헌 과정에서 다행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