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시선은 누군가를 성장시킨다

좋은 칼럼을 읽었다.

글쓰는 변호사 정지우 작가의 '<키다리 아저씨>와 글쓰기의 진정한 효능 [정지우의 잡동사니]>'라는 글이다. 

작가는 <키다리 아저씨>의 주인공 주디가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자신의 후원자 키다리 아저씨에게 편지를 쓰면서 성장해가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그것은 키다리 아저씨의 따뜻한 시선과 환대가 주디로 하여금 편지를 쓰게 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주디를 키운 건 키다리 아저씨의 따뜻한 시선이었다

한 사람이 성장하는 데는 고독 이전에 타인의 시선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그를 바라보며 '기다려줄' 시선이 있어야 한다. 대개 이런 역할은 부모가 하지만, <빨강머리 앤>에서처럼 양부모가 하기도 하고,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에서처럼 이웃집 아저씨가 하기도 하며, <키다리 아저씨>에서는 편지를 받아주는 상상 속의 그 누군가가 하기도 한다. 

키다리 아저씨는 단 한번도 주디에게 모습을 드러낸 적이 없고, 그 편지에 답장을 한 적도 없다. 하지만 주디는 아저씨가 자신의 편지를 빠짐없이, 관심을 갖고 읽고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그것은 편지가 단 한번도 반송된 적이 없음이 증거다. 순수한 10대 소녀의 발랄한 상상이 깜찍하고 귀엽기도 하지만, 그게 비단 어린 소녀에게만 해당하진 않을 것이다. 따뜻한 시선과 기대는 따로 말하지 않아도 상대로 하여금 그에 부합하고자 하는 의무감을 지우고, 그에 벗어났을 때 자신 스스로 실망과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묘한 힘을 지녔다. 

관심과 시선을 주는 것만으로, 대상을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 정도의 수고에는 비용조차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키다리 아저씨'는 그저 편지를 받아만 주었을 뿐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우리가 갖추어야 할 것은 단지 대상에 대한 '관심', '믿음' 그리고 작가가 언급한 것처럼 '기다림'으로 충분하다. 나머지는 대상이 알아서 마련하고, 스스로 준비할 것이다. 

공생 리더십, 코칭 모두 이와 같은 인간에 대한 믿음이 가장 기본이다.

No. 250349


Read more

그에게 '그다움'은 생명이다

다음 이야기는 장자 내편 응제왕의 마지막장 '혼돈'에 관한 것이다. 남해의 제왕이 있어 숙이라고 한다, 북해의 제왕이 있어 홀이라고 한다, 중앙의 제왕이 있어 혼돈이라고 한다. 숙과 홀이 때때로 혼돈의 땅에서 만났는데 혼돈이 그들을 지극이 잘 대접하였다. 숙과 홀이 혼돈의 덕에 보답하기 위해 모의하기를 '사람은 모두 7개의 구멍이

By 나무처럼
사람은 축구공이 아니다

사람은 축구공이 아니다

자생 그리고 공생 관련하여 오늘 할 이야기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아는 그렇지만 알면서도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는 그런 내용에 관한 이야기다. 사람은 축구공이 아니다 당연하다. 사람은 생명이 있지만, 축구공은 생명이 없는 물건이다. 생명이 있기 때문에 생명 의지가 있고, 생명 의지가 있기 때문에 개성이 있다. 개성이 있는 사람은 당장 어떻게 움직일지 아무도

By 나무처럼

코칭은 지행합일(知行合一)을 돕는 작업이다

코칭은 코치가 코칭 대상자의 성장을 돕는 작업이다.  코칭에서 전제하는 가장 중요한 사실은 코칭 대상자는 현재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 지 그리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충분히 알고 있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자원을 이미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코치가 하는 역할은 질문과 경청과 피드백(feedback)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안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By 나무처럼

지성과 지식

지성과 지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지성(知性)은 지각된 것을 정리하고 통일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식을 낳게 하는 정신 작용이다. 넓은 뜻으로는 지각이나 직관(直觀), 오성(悟性) 따위의 지적 능력을 통틀어 이른다. 심리학에서는 새로운 상황에 부딪혔을 때에, 맹목적이거나 본능적 방법에 의하지 아니하고 지적인 사고에 근거하여 그 상황에 적응하고

By 나무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