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라는 남자'> 인생은 살고 살리는 것이다

<'오토라는 남자'> 인생은 살고 살리는 것이다

아래 글은 마크 포스터 감독의 '오토라는 남자'(A Man Called Otto, 2022)라는 작품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스웨덴 영화인 '오베라는 남자'(A Man Called Ove, 2016)를 미국판으로 리메이크한 것이고, '오베라는 남자'는 2015년 출간된 프레드릭 배크만의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것이다.

(아래부터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람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진리?

 

아내가 사망했다. 

아내 소냐는 세상의 모든 것이었다.
세상을 잃은 초로의 남자는 아내를 따라 가기 위해 주변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전기와 가스를 끊고, 전화도 해지했다.
하지만 목을 매려고 하고, 차량 배기가스로 자살을 시도하고, 전철 앞에 뛰어들 준비를 하던 그에게 세상은 자꾸 말을 건다.
그에게 도움을 받으려고 하고, 그를 또 도우려고 한다. 
강직한 원칙주의자인데다가 성격이 까칠한 그이지만, 어려움에 빠진 사람들의 요청을 외면하지 못한다.
세상을 마감하려고 했던 오토는 사람들을 돕고, 살리면서 조금씩 되살아난다. 
사고로 아이를 잃고 하반신 마비까지 되었던 아내를 위해 살아왔던 것처럼(오토가 까칠해진 것은 아내에게 녹록치 않은 세상 때문이었다)
오토는 아내만큼이나 자신을 필요로하는 세상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선천적인 심장 이상으로 결국 몇 년 후에 침대에서 생을 마감하는 오토.
하지만 그 모습은 자살이라는 비극이 아닌, 자연스러운 마무리였고,
오토는 다시 사랑하는 아내 소냐를 행복한 모습으로 다시 만났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 영화는 인생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차분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인생(人生)이라는 한자 두 글자에 따뜻하게 담겨있는 의미. 사람 인과 살 생. 나는 인생이 '사람이 사는 것'이자, '사람을 살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사람이 사람을 살리는 것'이다. 영화속의 주인공은 아내를 살리고, 아내를 통해 살면서 인생을 보냈다. 그래서 아내의 죽음은 인생 그 자체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이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은 주변에 얼마든지 있었고, 주인공이 머저리라고 경멸했던 그들이 주인공 자신을 살리고 있었음을 주인공은 깨닫게 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내가 그들을 살리기 때문에, 오히려 내가 살 수 있다.

살고 살리는 작용이 생명성이다. 생명성이 있어야 생명이 존재한다.

#250343


Read more

AI는 글쓰기의 최고 협력자가 될 수 있다

AI는 도구일 뿐, 글쓰기는 여전히 인간의 몫인 이유

인공지능(AI)이 단순한 조수(助手)를 넘어 창조의 영역에 발을 들이면서, 글쓰기 역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챗GPT, Gemini와 같은 AI는 정보 수집부터 초안 작성, 심지어 시나 소설 창작에까지 활용되며 글쓰기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렸다. 이로 인해 "글쓰기는 이제 AI가 다 하는 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기도 한다. 하지만

2025년 강릉의 가뭄을 돕기 위해 모인 전국의 소방차들

2025년 강릉에게 말해주는 속초의 가뭄 해결법 (곤困, 사師, 비比)

2025년 여름, 강원도 영동 지역을 덮친 극심한 가뭄은 우리 사회에 깊은 울림을 남기고 있다. 강릉시가 제한 급수와 재난사태 선포로 고통받는 동안, 불과 60km 떨어진 속초시는 대규모 물 축제를 개최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 극명한 대비는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위기 앞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지혜를 발휘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4)] 탄핵과 구속의 끝은: '화수미제(火水未濟)'

첫번째 글에서 ‘천산둔’ 괘가 경고한 교만함, 두번째 글에서 ‘택화혁’ 괘가 보여준 무모한 혁명적 시도, 그리고 세번째 글에서 ‘수뢰둔’ 괘가 상징한 혼란과 난관. 이 모든 여정의 끝은 결국 주역의 마지막 괘, ‘화수미제(火水未濟)’로 귀결되었다. ‘미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어떤 것도 온전히 마무리 짓지 못하고, 모든 것이 불완전한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3)] 민주주의에 막히다: '수뢰둔(水雷屯)'

앞에서 우리는 윤석열 정부가 무모한 '혁명'을 꾀하며 '택화혁' 괘의 지혜를 외면했음을 살펴보았다. 성급하고 준비되지 않은 반민주적 혁명적 시도는 결국 파국으로 치달았다. 그리고 그 파국이 남긴 것은 극심한 혼란과 정체, 곧 주역의 '수뢰둔(水雷屯)' 괘가 상징하는 난관과 혼돈의 상황이었다. '둔(屯)'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