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라는 남자'> 인생은 살고 살리는 것이다

<'오토라는 남자'> 인생은 살고 살리는 것이다

아래 글은 마크 포스터 감독의 '오토라는 남자'(A Man Called Otto, 2022)라는 작품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스웨덴 영화인 '오베라는 남자'(A Man Called Ove, 2016)를 미국판으로 리메이크한 것이고, '오베라는 남자'는 2015년 출간된 프레드릭 배크만의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것이다.

(아래부터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람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진리?

 

아내가 사망했다. 

아내 소냐는 세상의 모든 것이었다.
세상을 잃은 초로의 남자는 아내를 따라 가기 위해 주변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전기와 가스를 끊고, 전화도 해지했다.
하지만 목을 매려고 하고, 차량 배기가스로 자살을 시도하고, 전철 앞에 뛰어들 준비를 하던 그에게 세상은 자꾸 말을 건다.
그에게 도움을 받으려고 하고, 그를 또 도우려고 한다. 
강직한 원칙주의자인데다가 성격이 까칠한 그이지만, 어려움에 빠진 사람들의 요청을 외면하지 못한다.
세상을 마감하려고 했던 오토는 사람들을 돕고, 살리면서 조금씩 되살아난다. 
사고로 아이를 잃고 하반신 마비까지 되었던 아내를 위해 살아왔던 것처럼(오토가 까칠해진 것은 아내에게 녹록치 않은 세상 때문이었다)
오토는 아내만큼이나 자신을 필요로하는 세상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선천적인 심장 이상으로 결국 몇 년 후에 침대에서 생을 마감하는 오토.
하지만 그 모습은 자살이라는 비극이 아닌, 자연스러운 마무리였고,
오토는 다시 사랑하는 아내 소냐를 행복한 모습으로 다시 만났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 영화는 인생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차분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인생(人生)이라는 한자 두 글자에 따뜻하게 담겨있는 의미. 사람 인과 살 생. 나는 인생이 '사람이 사는 것'이자, '사람을 살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사람이 사람을 살리는 것'이다. 영화속의 주인공은 아내를 살리고, 아내를 통해 살면서 인생을 보냈다. 그래서 아내의 죽음은 인생 그 자체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이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은 주변에 얼마든지 있었고, 주인공이 머저리라고 경멸했던 그들이 주인공 자신을 살리고 있었음을 주인공은 깨닫게 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내가 그들을 살리기 때문에, 오히려 내가 살 수 있다.

살고 살리는 작용이 생명성이다. 생명성이 있어야 생명이 존재한다.

#250343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