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유니콘이 되고자 하는 스타트업

세종시... 유니콘이 되고자 하는 스타트업

이제 며칠후면 2012년 7월 1일 세종시가 공식출범한 지 만 13년이 된다.

노무현 정부 때 당당하게 수도로 출발했던 세종이 헌법재판소 위헌판결로 발목을 잡혔고, 뒤이은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격하되었던(그것도 박근혜 대표가 국민과의 약속이라고 디펜스해주어 그나마 남은 것이다...) 아쉬움의 도시.

하지만 문재인 정부 때 행정안전부와 중소기업부(부로 승격)의 이전이 이루어졌고,

2020년 김태년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행정수도 이전론으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가, 전국적인 부동산 폭락의 기세를 이겨내지 못했다. 하지만 국회세종의사당 설치법안 통과에 이어, 국회규칙, 세종지방법원 설치법안까지 통과되면서 실질적 행정수도로서의 준비는 착착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번 이재명 정부 초반 용산에서 세종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옮기지 않는 것에 대해 세종 부동산에 찬물을 끼얹은 것처럼 말하지만,

이제 만 10년 세종에서 살고 있는 실제 수요자의 입장에서 보면 여러모로 세종의 가치가 점점 더 올라가고 있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세종에서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에 관심없다고 말할 사람이 과연 있을까. 나도 그런 현실적인 욕심이 전혀 없다고는 하지 않겠다. 하지만 세종에서 살면서, 세종을 사랑하고, 세종을 즐기는(?) 시민의 입장에서 아파트 가격이 얼마한다더라보다, 더 관심이 가는 것은 세종의 발전으로 내 생활 반경에 어떤 시설이 더 들어올까, 얼마나 더 편리해질까이다.

그런 측면에서 세종은 기분 좋은 변수를 너무나도 많이 가졌다.

비어있기에 채울 수 있는 공간이 많고,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너무나 좋은 명분 위에 올라서 있다. 특히 전국 주요 도시에 2시간 이내에 자동차로 접근가능하다는 것은 내게 너무나 매력적이다.

그런 면에서 내게 세종은 유니콘이 곧 될 것같은 실로 대단한 스타트업같은 곳이다.

#250642

Read more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구조적 실패를 예고한 '산지박'의 경고 (박剝)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96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와 전체 647개 업무 시스템이 중단되었으며, 정부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2025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는 결코 우연하거나 단순한

깨지고 낡은 솥은 뒤집어야 한다. 그것이 개혁이다. (Google AI Studio)

대한민국 검찰, 낡은 솥을 뒤집는 시간 (정鼎)

2025년 9월 26일, 대한민국 검찰 개혁은 검찰청을 78년 만에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 개혁의 핵심은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것으로, 기존 검찰의 기능은 기소와 공소 유지를 전담하는 공소청과 부패·경제 등 중대범죄 수사를 맡는 중대범죄수사청 (중수청, 행안부 소속)으로 이관되며, 이 신설 기관들은 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