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나무> 멋진 사람, 김수철

<지혜나무> 멋진 사람, 김수철

집대성한 공연을 여는 김수철(66)은 최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 시대에 모든 국악의 현대화 작업을 완성하려는 마음은 없다. 우리 음악으로 가는 다리 역할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2023. 9. 25. 연합뉴스>

멋진 분이다.

대단한 분이다.

본인도 연예계 최상의 자리에 올라 최고의 인기를 누려보았으니, 대중적인 인기가 주는 매력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인기만 쫓는다면 절대 못할 일이다. 

인기의 정점에서 우리 소리를 현대화하는 국악 작업을 시작하다니..

국가와 사회가 나서서 해야하는 일을 어느 누군가가 시작했고, 이제 꽃을 피워 열매까지 맺을 참이다.

그러면서 정작 본인은 자기 시대에 완성하려는 마음은 없다고 한다. 

정말 존경스럽다.

"나 같은 놈도 하나 있어야지"라고 말씀하시는 분.

이런 분이 하나가 아니라 둘이 되고, 100이 되고, 1,000이 된다면 우리 사회는 얼마나 생기와 활력이 돌 것인가.

생기 뿐일까. 

나는 이게 바로 공생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좋아서 하는 일이 자신 뿐만 아니라 모두를 살리는 일.

이런 분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자기가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일을 하나씩만 꾸준히 해나간다면 미래는 결코 어둡지 않을 것이다.

멋진 사람, 김수철.

이 분을 응원하고 싶다.

#250549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