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관점(View) 2/2

투자의 관점(View) 2/2

투자를 잘 하기 위해서 꾸준히 공부해야한다는 말은 진리다. 

지금 이 순간도 빌 보드 차트 순위는 끊임없이 바뀌고 있고, KOSPI는 쉬지 않고 발생하는 어떤 이유로 폭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왜 미국 10년만기 국채 이자율의 상승이 우리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는가. 중국 위안화의 가치절상은 우리 경제에 해로울까. NFT(Non-Fungible Token)기술은 음악시장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트렌드를 파악하고, 신기술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를 공부하는 수 밖에는 없다. 현재를 알아야만 사업이나 투자를 위한 새로운 기회가 눈에 보인다. 새로운 기회는 새로운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지금까지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존재가 탄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새로운 원소, 알려지지 않았던 별처럼 존재하였으나 발견되지 않았던 것들이다. 과학기술과 개념의 발전은 우리의 관점을 더 넓고 깊게 만드는데, 관점이 확장하면서 그 동안 눈에 띄지 않았던 기회가 포착된다. 바로 이게 꾸준히 공부해야하는 이유다.

공부라고 해서 미시거시경제학, 미분적분과 같은 수학 등 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업무와 관련되는 전문서적을 읽는 것도 도움이 되고, 간단하게는 신문을 구독하고 스크랩하는 것도 경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큰 공부가 된다. 또한 문사철이라고 일컫는 문학과 철학, 역사는 인간의 행동과 심리의 이해, 사유 체계의 고찰 그리고 문명과 사회의 흥망성쇠를 이해하는데 굉장히 큰 도움을 준다.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 역시 말할 것도 없다. 투자철학에 있어서 관점은 결국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고 재정의하는 프레임이며, 이를 위한 독서는 어떤 분야가 되었든 버릴 것이 없다.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 이제 공부를 시작하자.

#250543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