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좋은 상(象)도, 무조건 나쁜 상(象)도 없다

상(象)은 가치중립적이다. 

무조건 좋은 상도, 그렇다고 무조건 나쁜 상도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칼이 주방장이 들면 요리도구가 되고, 강도가 들면 흉기가 되는 이치와 같다. 주역에서 험난한 상황을 상징하는 괘로서, 대표적인 4대 난괘(수뢰둔, 택수곤, 수산건, 중수감)가 있지만, 그것 역시 절대적으로 나쁜 의미로만 발현되는 것은 아니다. 나의 적에게 나쁜 것은 내게는 좋은 것이다. 따라서 나의 적이 4대 난괘의 상황이라면 내겐 좋은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괘상이 상징하는 바대로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이로운 상황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이 가치중립이라는 것은 반대의 의미로도 해석가능한 셈이 된다. 즉 주역에서 좋은 의미를 가진 괘, 이를테면 화천대유, 지풍승괘와 같은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내겐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화천대유(火天大有))는 일반적으로는 크게 소유하다는 의미로 매우 좋은 뜻이지만, CEO의 자리를 두고 여성 후보와 경쟁하는 남자 후보에게는 그리 좋지 않은 뜻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괘의 주인이 되는 다섯번째 효가 화천대유에서는 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어떤 의미의 괘를 얻었는가만큼, 얻은 괘의 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일이다. 물 한방울 아쉬운 가뭄의 상황에서 연못 아래로 물이 새어버린 택수곤괘를 얻었다고 해도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주역텍스트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무엇을 해야할 지 방향이 수립되었다면 그 다음은 한 몸처럼 조직을 움직여 현명하게 그에 대응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주역의 괘효사는 우리에게 많은 통찰을 전혀주는 지혜의 보고가 될 수 있다.

#250450


Read more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구조적 실패를 예고한 '산지박'의 경고 (박剝)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96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와 전체 647개 업무 시스템이 중단되었으며, 정부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2025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는 결코 우연하거나 단순한

깨지고 낡은 솥은 뒤집어야 한다. 그것이 개혁이다. (Google AI Studio)

대한민국 검찰, 낡은 솥을 뒤집는 시간 (정鼎)

2025년 9월 26일, 대한민국 검찰 개혁은 검찰청을 78년 만에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 개혁의 핵심은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것으로, 기존 검찰의 기능은 기소와 공소 유지를 전담하는 공소청과 부패·경제 등 중대범죄 수사를 맡는 중대범죄수사청 (중수청, 행안부 소속)으로 이관되며, 이 신설 기관들은 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