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좋은 상(象)도, 무조건 나쁜 상(象)도 없다

상(象)은 가치중립적이다. 

무조건 좋은 상도, 그렇다고 무조건 나쁜 상도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칼이 주방장이 들면 요리도구가 되고, 강도가 들면 흉기가 되는 이치와 같다. 주역에서 험난한 상황을 상징하는 괘로서, 대표적인 4대 난괘(수뢰둔, 택수곤, 수산건, 중수감)가 있지만, 그것 역시 절대적으로 나쁜 의미로만 발현되는 것은 아니다. 나의 적에게 나쁜 것은 내게는 좋은 것이다. 따라서 나의 적이 4대 난괘의 상황이라면 내겐 좋은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괘상이 상징하는 바대로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이로운 상황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이 가치중립이라는 것은 반대의 의미로도 해석가능한 셈이 된다. 즉 주역에서 좋은 의미를 가진 괘, 이를테면 화천대유, 지풍승괘와 같은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내겐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화천대유(火天大有))는 일반적으로는 크게 소유하다는 의미로 매우 좋은 뜻이지만, CEO의 자리를 두고 여성 후보와 경쟁하는 남자 후보에게는 그리 좋지 않은 뜻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괘의 주인이 되는 다섯번째 효가 화천대유에서는 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어떤 의미의 괘를 얻었는가만큼, 얻은 괘의 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일이다. 물 한방울 아쉬운 가뭄의 상황에서 연못 아래로 물이 새어버린 택수곤괘를 얻었다고 해도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주역텍스트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무엇을 해야할 지 방향이 수립되었다면 그 다음은 한 몸처럼 조직을 움직여 현명하게 그에 대응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주역의 괘효사는 우리에게 많은 통찰을 전혀주는 지혜의 보고가 될 수 있다.

#250450


Read more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3)] 민주주의에 막히다: '수뢰둔(水雷屯)'

앞에서 우리는 윤석열 정부가 무모한 '혁명'을 꾀하며 '택화혁' 괘의 지혜를 외면했음을 살펴보았다. 성급하고 준비되지 않은 반민주적 혁명적 시도는 결국 파국으로 치달았다. 그리고 그 파국이 남긴 것은 극심한 혼란과 정체, 곧 주역의 '수뢰둔(水雷屯)' 괘가 상징하는 난관과 혼돈의 상황이었다. '둔(屯)'은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2)] 파국으로 치닫는 밤: '택화혁(澤火革)'

앞 글에서 우리는 윤석열의 대통령 당선 초기에 보였던 교만이 '천산둔' 괘의 경고를 외면했음을 이제 안다. 그 교만은 단순한 개인적 문제를 넘어, 점차 권력의 오만함으로 발전하며 급기야 돌이킬 수 없는 파국적인 시도를 낳고 말았다. 2024년 12월 3일 선포된 비상계엄은 단순한 정치적 해프닝을 넘어,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변화이자 사건&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1)] 윤석열의 대통령 당선과 교만: 천산둔(天山遯)

2024년 12월 3일 22:00 대한민국에서는 5. 18. 이후 40여년만에 비상계엄이 발령되었다. 개인의 정치 이념을 떠나,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비상계엄이라는 어마어마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 자체는 우리에게 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그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 제2, 제3의 12.3 계엄을 막아야하는 민주시민의 책무가 있다. 이제 곧 시작될 개헌 과정에서 다행히도

세종시... 유니콘이 되고자 하는 스타트업

세종시... 유니콘이 되고자 하는 스타트업

이제 며칠후면 2012년 7월 1일 세종시가 공식출범한 지 만 13년이 된다. 노무현 정부 때 당당하게 수도로 출발했던 세종이 헌법재판소 위헌판결로 발목을 잡혔고, 뒤이은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격하되었던(그것도 박근혜 대표가 국민과의 약속이라고 디펜스해주어 그나마 남은 것이다...) 아쉬움의 도시. 하지만 문재인 정부 때 행정안전부와 중소기업부(부로 승격)의 이전이 이루어졌고,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