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야 한다' 말고 '할 수 있다'


최근 난 심각한 공허함에 시달렸다.

특별한 이유를 찾을 수 없었다.
몸이 힘든 것도, 외로운 것도 아니다.

감정이 마비된 것인지, 아니면 기력이 떨어진 것인지.. 그저 팽팽한 풍선의 바람이 빠진 느낌과 비슷한.
나는 '공허하다'는 단어가 그 상태를 비교적(완전히는 아니지만) 잘 설명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내가 왜 이 자리에 있는가,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회의. 우울감과 비슷하지만 삶의 좌절을 느끼는 건 아니었다. 그저 혼자서 생각하고 싶었을 뿐.

공허함의 부작용은 무기력이다.

나를 밀어주고, 끌어주는 무언가 심적 동력이 사라진 기분은 무중력 상태에서 오도 가지 못한 채 뱅뱅 떠 있는 느낌이 들게 한다. 결국 나아가고 싶은 마음도, 주저앉고 싶은 마음도 모두 사라져버렸다.
무언가는 해야하는데, 하지 않고 있으니 당연히 할 일은 쌓인다. 그것은 무기력은 개선하지 못한 채 주변인을 향한 짜증으로 바뀐다. 

심각했다.

우리가 뷔페에 다녀와서 체했을 때, 무엇이 원인이었을지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먹었던 음식을 하나씩 떠올려보는 것이다. 문제가 된 음식을 생각하면 온 몸이 반응한다. 속이 거북해지고, 뱃속이 더욱 막히는 느낌이다. 토하고 싶을 수도 있다. 말로는 표현되지 않지만, 온몸의 감각이 그 원인을 거부하는 것이다. 정말 효과적인 우리의 생존 본능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내 공허함의 원인을 찾아본 결과, 난 과다한 '해야할 일들'로 인한 스트레스임을 알았다.

내가 챙겨야하는 일들. 내가 직접 해야하는 일들. 반드시 오늘 중에 이루어져야 하는 일들. 제대로 이루어졌는 지 다시 확인해야하는 일들. 살짝 떠올리기만 했을 뿐인데, 난 무기력과 공허함을 떠나 심한 피로감을 느꼈다. 

문제는 그 일들이 말 그대로 내가 '해야 하는 일들'임에 있었다.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 도무지 답이 생각나지 않았다. 답을 생각하는 일마저 '해야하는 일'이 되어 책임의 무게를 더했다. 그리고 또 하루가 지났다. 할 일은 더 쌓였다. 내 감정은 시한폭탄이 되어, 나 조차도 어쩌지 못하고 있었다. 정말 사라져버리고 싶었다. 나 혼자. 아무도 없는 곳으로.

그렇게 점점 절벽으로 내몰릴 때 즈음, 내 머리를 잠시 스치는 생각이 있었다.

내가 사라진다해도 잘 굴러가겠지.

여전히 해와 달은 정확히 지구를 돌 것이다. 겨울이 지나 봄이 오고, 여름, 가을을 지날 것이다. 내가 해야 하는 일들 모두 누군가 나 대신 투덜투덜 하고 있을 것이다. 아니 하루이틀 안한다고 해도 세상이 뒤집어지진 않을 것이다. 적어도 그건 사실이다.

나는 그 동안 내가 '해야 한다'는 지독한 프레임에 갇혀 있었다. 나는 그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지, '해야 하는' 사람은 아니다. 왜냐하면 나 역시 누군가로 너무나 쉽게 대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니, 안하면 또한 어떠한가. 세상이 망할 일이 아닌데. 

내가 '해야 한다'고 여겼던 일들을 주욱 늘어놓고, '할 수 있는' 일로 바꾸어볼 수 있는지 생각해보았다.

'아이들에게 식사를 차려주어야 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영양이 풍부한 식사를 차려줄 수 있다.'로 바꿀 수 있다. '취침 전 둘째 아이에게 자세 교정 스트레칭을 시켜야 한다.'는 것은 '취침 전 둘째 아이와 자세 교정 스트레칭을 하면서 그 날 있었던 이야기를 대화할 수 있다'로, '일주일에 한 번 세탁기를 돌려야 한다'는 것은 '일주일에 한 번 아니 그 이상 세탁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릴 수 있다'로 바꾸어볼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건 일의 총량이 줄어들진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해야 하는' 일은 책임과 의무가 나를 밀지만, '할 수 있는' 일은 권리가 되어 나를 이끄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할 수 있는' 일은 할 수 있음에 감사할 거리가 생긴다. 그에 반해 '해야 하는' 일은 적어도 맥락 상에서만큼은 그럴 여지가 없다. 마지막으로 '해야 하는' 일은 안하면 내게 부담을 주는 스트레스가 된다. 하지만 그 일이 한 번 안했다고 내게 그렇게 벌 줄 일인가. '할 수 있는' 일은 할 수 없으면 안해도 되는 여유가 있다. 실제로 할 수 없으면 안해도 된다. 그래도 세상은 잘 돌아가니까. 

나는 공허함 속에서 마치 익사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누군가를 살리기 위해 내 자신을 먼저 살려야 한다는 대전제를 놓쳤던 것이다.

나부터 살리자.

나부터 살아야 다른 이를 살릴 수 있다. 

공생에 앞서 자생이 필요한 이유다.

#250448


Read more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구조적 실패를 예고한 '산지박'의 경고 (박剝)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96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와 전체 647개 업무 시스템이 중단되었으며, 정부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2025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는 결코 우연하거나 단순한

깨지고 낡은 솥은 뒤집어야 한다. 그것이 개혁이다. (Google AI Studio)

대한민국 검찰, 낡은 솥을 뒤집는 시간 (정鼎)

2025년 9월 26일, 대한민국 검찰 개혁은 검찰청을 78년 만에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 개혁의 핵심은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것으로, 기존 검찰의 기능은 기소와 공소 유지를 전담하는 공소청과 부패·경제 등 중대범죄 수사를 맡는 중대범죄수사청 (중수청, 행안부 소속)으로 이관되며, 이 신설 기관들은 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