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 게임'> 사랑은 전염된다

<'스파이 게임'> 사랑은 전염된다

(아래 내용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상대를 믿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믿지 못하는 사람과의 사랑은 십중팔구 비극으로 끝난다.

그래서 누군가를 속이고 자신을 숨겨야하는 스파이들에게 인간적인 감정은 잘 어울리지 않다. 그들에게 우정이나 사랑은 사치일 수 있고, 때로는 무기일 수도 있다.

은퇴를 앞둔 베테랑 요원 네이선 뮈어(로버트 레드포드 役) 역시 그런 사람이다. 그는 필요하다면 동료 톰 비숍(브래드 피트 役)과 그 애인 앞에서 감추고 싶은 그녀의 과거를 까발려버리는 재수없는 짓도 거리낌없이 한다. 그건 모두 비숍이 포섭되는 걸 막고, 임무의 성공을 위해서 한 일이다. 그는 그 만큼 임무만 생각했던 냉철한 스파이였다. 하지만 그가 자신을 혐오하며 떠나버린 비숍을 위해 인생을 걸었으니, 그 내용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영화 '스파이 게임'(Spy Game, 2001)은 아무도 믿지 못하는 스파이 세계에서 인간적인 '감정'이 존재한다면 어떻게 될까를 보여주는 실험과도 같은 작품이다. 아주 오래 전인 2001년도에 나왔던 작품임에도 굉장한 흡입력으로 스토리에 빠져들게 한다. <007> 시리즈나 <미션 임파서블>류와 다르게 액션은 자주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CIA 회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치밀한 두뇌게임과 뮈어와 비숍의 과거 회상으로 작품을 끌어간다. 감독이 의도하는 바가 비교적 분명하므로 내용이 그리 어렵지는 않으나, 나는 살고 살리는 생(生)의 관점에서 작품을 보게 되었다.

월남전에서 위험한 상황임에도 멋지게 저격임무를 수행하고 부상당한 동료까지 부축해서 돌아오는 비숍을 CIA 요원으로 발굴하고 키운 것은 뮈어였다. 뮈어가 비숍을 요원으로 생(生)한 것이다. 하지만 비숍은 뛰어난 역량을 갖고 있음에도 태생적으로 스파이는 맞지 않는 인물이다. 스파이와 어울리지 않게 너무나 인간적이었던 것이다. 몰래 호송하던 인물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오자, 그는 인간적으로 갈등한다. 또한 이중 스파이일 지도 모르는 여인과 사랑에 빠졌으며, 한 명의 테러리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수십명의 민간인 희생자를 감수하는 상황에서는 작전을 계획했던 뮈어를 혐오하며 떠나고 만다.

뮈어가 비숍의 소식을 다시 들었던 것은 은퇴하는 당일 사무실에서였다. 비숍이 임무 수행중에 누군가를 구하기 위해 독자행동을 감행했고, 그 과정에서 중국 당국에 체포된 일이 발생했던 것. 하필 미국 정부는 중국과 무역 협정을 앞두고 있어 외교적 분쟁으로 비화될 수 있는 비숍 체포건을 은폐하고자 했다. 비숍은 24시간 내 처형이 예정되어 있었고, 정보 당국은 공식적으로 비숍은 이미 사망한 인물이라며 연관성을 부인했다. 

이때부터 비숍을 살리기 위한 뮈어의 진정한 스파이 게임이 시작된다. 비숍에 관한 정보를 캐내기 위해 자신을 두고 추궁하는 CIA 수뇌부들을 상대로 역으로 정보를 빼낸다. 현재 어디에 수감되어 있는지 확인되자 그는 CIA 국장의 직인을 위조하여 작전을 개시한다. 그 과정에서 평생 모은 은퇴자금까지 중국의 전력 회사 간부를 매수하는 첩보 자금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은퇴 자금을 모두 써버리는 것은 무모하고 미련한 짓이다. 회상 대목에서 뮈어가 비숍에게 돈에 관해서 충고하는 장면이 있다. 정확히는 기억나지 않지만 "평온하게 은퇴하고 싶으면 타인에게 절대 돈을 받지 말라"는 걸로 기억한다. 이처럼 부정한 돈은 멀리했을 뮈어이니, 남은 돈이라곤 은퇴 자금이 전부였을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뮈어는 국장의 직인까지 위조한다. 평온한 은퇴는 커녕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이쯤에서 궁금하다. 무엇이 냉철하고 이성적인 뮈어를 움직였을까. 단순한 옛동료에 대한 동료애일까. 아니면 그 이상인가.

그 힌트는 바로 비숍이 선물로 준 휴대용 술병에 있다.

그것은 베이루트 작전 때 비숍이 생일선물로 자신에게 준 것이다. 맛있는 식사를 하기 위해서라면 총탄이 날아다니는 거리를 지나도 상관없다는 인간적인 비숍이다. 그러한 비숍이 위험천만한 베이루트에서 자신의 생일을 기억하고 준 선물은 단순한 선물 이상이었다. 어느 리뷰에서 그것은 언제 어디에서나 술을 한 잔 할 수 있는 여유있는 삶을 바란다는 비숍의 마음이 담겨있는 상징물이라는 글을 읽었다. 충분히 공감가는 해석이다. 사람을 속일 수 밖에 없고, 때로는 자신을 믿는 사람을 버려야 하는 비정한 일이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다움은 잃지 말라는 비숍의 사랑이다. 그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뮈어는 비숍이 위험한 작전을 몰래 수행할 정도로 구출하고 싶었던 인물이 누구인지 알게 된다. 그녀는 바로 자신이 깨버린 비숍의 사랑이었다. 영국과 중국의 이중 스파이로 지목되어 중국 교도소에 억류된 그녀를 비숍은 몰래 구출하려고 했던 것이다. 

사람을 사랑할 줄 알고, 기꺼이 그 사랑을 보여주었으며, 사랑을 지키기 위해 인생을 걸 수 있는 멋진 사람.

뮈어는 비숍을 스파이로 생(生)했지만, 뮈어의 인간다움을 다시 살려낸 것은 비숍의 사랑이었다. 진실한 사랑의 모습이 냉혈한 스파이를 따뜻한 인간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었다.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왜 뮈어가 그런 선택을 했는지 고개가 끄덕여진다. 

<스파이 게임>은 시간을 초월하는 정말 멋진 작품이다.

#250442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