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은 지행합일(知行合一)을 돕는 작업이다


코칭은 코치가 코칭 대상자의 성장을 돕는 작업이다. 

코칭에서 전제하는 가장 중요한 사실은 코칭 대상자는 현재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 지 그리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충분히 알고 있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자원을 이미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코치가 하는 역할은 질문과 경청과 피드백(feedback)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안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자기 안의 목소리를 찾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과 역량을 발견하게 돕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도록 방해요소를 함께 발견하고 극복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양명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 사상과 정확하게 부합한다. 양명의 지행합일은 지행병진(知行竝進)으로, 주자학의 선지후행(先知後行)에 대비된다. 선지후행은 말 그대로 먼저 배우고, 그 다음에 행한다는 의미로 앎의 대상은 내 안이 아닌 밖에 있음을 전제한다.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을 배운 다음에 행동으로 옮겨야하는 것이다. 그에 반해 지행병진은 앎과 행동을 동시에 행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지행합일 즉 앎과 행위는 원래 하나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앎의 대상이 바깥이 아닌 내 안에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행병진과 선지후행 중 어느 것이 옳은지는 철학과 관점의 차이이므로 큰 의미는 없다. 다만, 코칭의 관점에서는 대상자가 이미 무엇을 해야 하는 지 알고 있고, 그것을 행하도록 돕는 것이므로 지행합일의 관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스스로 코칭하는 셀프코칭의 경우, 자신의 앎을 실천하는 것으로 발현되므로 그 특징은 더욱 두드러진다. 코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대상자가 정확하게 지(知)할 수 있도록 돕고, 행(行)하는데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인식하게 한다. 그리고 지에 따라 행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파트너로서 함께 참여한다. 코칭이 최고 경지에 이를 때, 대상자는 스스로 지행합일하는 단계에 올라설 것이다.

따라서 코칭은 대상자의 지행합일을 도움으로써 대상자가 성장하게 만드는 작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50346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