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의 아이'> 변화는 어디를 향해 가는 것일까

<'날씨의 아이'> 변화는 어디를 향해 가는 것일까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날씨의 아이(Weathering With You, 2019)>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래는 애니메이션의 스포일러가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쿄의 하늘은 끊임없이 비가 내린다.

비오는 날을 기도를 통해 맑은 날로 바꿀 수 있는 소녀. 아마노 히나.

그녀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날씨의 무녀'이다. 그녀가 기도할 때마다 하늘은 그에 응답하여 맑게 갠 햇살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공짜는 없는 법. 

히나가 사라져야만 비가 그치질 않고 여름에도 눈발이 날리는 이상 기후를 정상으로 돌려놓을 수 있다.

호다카와의 애틋한 감정을 뒤로 하고, 결국 히나는 하늘로 사라지지만...

간절한 호다카의 노력으로 히나는 다시 지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대신 기도를 통해 날씨를 바꾸는 특수한 능력은 사라져버렸다.

무녀의 희생이 없었던 일로 되면서, 도쿄의 하늘은 다시 끊임없이 비가 내렸다. 

땅은 물에 잠기고, 건물과 공원은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되었다. 

넓은 도시 위로 물길이 생기고, 처음부터 원래 그랬던 것처럼 구불구불하게 뻗은 해안선이 길게 생겼다.

해수면이 상승하여 넓은 도시가 바다에 잠식되어 버린 모습.

한바탕 쓰나미가 덮친 것처럼 재앙이 쓸고간 모습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도쿄가 아닌, 물에 잠겨 도시가 마비된 처참한 모습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영화가 보여주는 아름다운 색감처럼 

마냥 비극처럼 느껴지지 않는 것은 나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애니에서 800년전 '날씨의 무녀' 설화를 설명했던 할아버지는

이상 기후가 아니라,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특수한 능력을 가진 무녀가 잠시 날씨를 돌려놓는다고 하더라도

결국 하늘은 자신의 뜻대로, 계획대로, 그림대로 움직이는 것이다.

물에 잠기면서 고택에서 나와 아파트로 옮겼던 마지막 의뢰인 할머니도 비슷한 말을 한다.

200년전 도쿄의 모습을 찾은 거라고.


참고로 일본 도쿄 지역은 원래 태풍이 잦고 국지성 집중호우가 퍼붓는 경우도 많다.

또 에도(江戸)강, 스미다(隅田)강, 아라(荒)강 등 대형 하천이 도시를 지나기 때문에 홍수의 피해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다만, 아래 사진과 같이 '수도권외곽방수로(首都圏外郭放水路)'라고 불리는 지하 방수로를 설치하는 등 이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을 뿐이다<참고>. 따라서 이런 치수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던 과거에는 어쩌면 물에 잠긴 도쿄가 더 자연스러운 원래 모습이었을 것이다.
 

거대한 그리스 로마 신전과 같은 ... 도쿄 외곽의 '수도권외곽방수로' 모습

 

우리는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일을 접할 때마다 세상이 망할 것같은 공포를 느끼곤 한다.

그것은 그 끝을 가늠할 수 없어서다. 

하지만 100년을 넘기지 못하는 우리가 모르는 더 큰 주기의 변화의 흐름이 있을 것이고, 지금의 변화는 그저 그 끝을 찾아가는 과정일런지도 모른다.

결국 모든 변화는 그 순환 안에서 움직이는 것일 뿐이다.

#250344


Read more

깨어있는 사유의 명령: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2024년 12월 3일의 교훈

법원이 요새 이상하다는 건 다들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말처럼, 사람들은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불안해 하고 있는데 조희대 대법원은 엉뚱하게 사법부의 '독립'이 필요하다 외치고 있다. 영점이 엇나간 느낌이다. <프레시안, 2025. 10. 25. "조희대와 대법원이 너무나 이상하다">(https:

<환원> 선도자의 리드를 통한 현명한 취사선택

다양한 시도와 선도자의 지혜로운 리더십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에서 비롯된다. 정체된 공동체는 결국 도태하기 마련이므로, 다양한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시도는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실험은 귀중한 자원과 에너지를 낭비하여 공동체 전체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는 '시도&

<다양성> 다양성 존중이 이끄는 선의의 경쟁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대안이 샘솟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구성원은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도전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위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만큼 공동체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지는 것이다.

2025년 현재 혼돈에 빠진 미국의 공생 시스템 (구글 AI Studio)

2025년 혼돈의 미국을 진단한다 (건蹇)

2025년 현재의 미국은 단순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상태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내전을 방불케 하는 극한의 적대감 속에서, 국가 시스템의 근간인 '공생'의 질서가 총체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라는 유기체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생 시스템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다양성, 환원, 리더십 모두에서 기능 부전이 발생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