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의 아이'> 변화는 어디를 향해 가는 것일까

<'날씨의 아이'> 변화는 어디를 향해 가는 것일까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날씨의 아이(Weathering With You, 2019)>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래는 애니메이션의 스포일러가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쿄의 하늘은 끊임없이 비가 내린다.

비오는 날을 기도를 통해 맑은 날로 바꿀 수 있는 소녀. 아마노 히나.

그녀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날씨의 무녀'이다. 그녀가 기도할 때마다 하늘은 그에 응답하여 맑게 갠 햇살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공짜는 없는 법. 

히나가 사라져야만 비가 그치질 않고 여름에도 눈발이 날리는 이상 기후를 정상으로 돌려놓을 수 있다.

호다카와의 애틋한 감정을 뒤로 하고, 결국 히나는 하늘로 사라지지만...

간절한 호다카의 노력으로 히나는 다시 지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대신 기도를 통해 날씨를 바꾸는 특수한 능력은 사라져버렸다.

무녀의 희생이 없었던 일로 되면서, 도쿄의 하늘은 다시 끊임없이 비가 내렸다. 

땅은 물에 잠기고, 건물과 공원은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되었다. 

넓은 도시 위로 물길이 생기고, 처음부터 원래 그랬던 것처럼 구불구불하게 뻗은 해안선이 길게 생겼다.

해수면이 상승하여 넓은 도시가 바다에 잠식되어 버린 모습.

한바탕 쓰나미가 덮친 것처럼 재앙이 쓸고간 모습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도쿄가 아닌, 물에 잠겨 도시가 마비된 처참한 모습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영화가 보여주는 아름다운 색감처럼 

마냥 비극처럼 느껴지지 않는 것은 나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애니에서 800년전 '날씨의 무녀' 설화를 설명했던 할아버지는

이상 기후가 아니라,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특수한 능력을 가진 무녀가 잠시 날씨를 돌려놓는다고 하더라도

결국 하늘은 자신의 뜻대로, 계획대로, 그림대로 움직이는 것이다.

물에 잠기면서 고택에서 나와 아파트로 옮겼던 마지막 의뢰인 할머니도 비슷한 말을 한다.

200년전 도쿄의 모습을 찾은 거라고.


참고로 일본 도쿄 지역은 원래 태풍이 잦고 국지성 집중호우가 퍼붓는 경우도 많다.

또 에도(江戸)강, 스미다(隅田)강, 아라(荒)강 등 대형 하천이 도시를 지나기 때문에 홍수의 피해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다만, 아래 사진과 같이 '수도권외곽방수로(首都圏外郭放水路)'라고 불리는 지하 방수로를 설치하는 등 이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을 뿐이다<참고>. 따라서 이런 치수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던 과거에는 어쩌면 물에 잠긴 도쿄가 더 자연스러운 원래 모습이었을 것이다.
 

거대한 그리스 로마 신전과 같은 ... 도쿄 외곽의 '수도권외곽방수로' 모습

 

우리는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일을 접할 때마다 세상이 망할 것같은 공포를 느끼곤 한다.

그것은 그 끝을 가늠할 수 없어서다. 

하지만 100년을 넘기지 못하는 우리가 모르는 더 큰 주기의 변화의 흐름이 있을 것이고, 지금의 변화는 그저 그 끝을 찾아가는 과정일런지도 모른다.

결국 모든 변화는 그 순환 안에서 움직이는 것일 뿐이다.

#250344


Read more

AI는 글쓰기의 최고 협력자가 될 수 있다

AI는 도구일 뿐, 글쓰기는 여전히 인간의 몫인 이유

인공지능(AI)이 단순한 조수(助手)를 넘어 창조의 영역에 발을 들이면서, 글쓰기 역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챗GPT, Gemini와 같은 AI는 정보 수집부터 초안 작성, 심지어 시나 소설 창작에까지 활용되며 글쓰기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렸다. 이로 인해 "글쓰기는 이제 AI가 다 하는 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기도 한다. 하지만

2025년 강릉의 가뭄을 돕기 위해 모인 전국의 소방차들

2025년 강릉에게 말해주는 속초의 가뭄 해결법 (곤困, 사師, 비比)

2025년 여름, 강원도 영동 지역을 덮친 극심한 가뭄은 우리 사회에 깊은 울림을 남기고 있다. 강릉시가 제한 급수와 재난사태 선포로 고통받는 동안, 불과 60km 떨어진 속초시는 대규모 물 축제를 개최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 극명한 대비는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위기 앞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지혜를 발휘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4)] 탄핵과 구속의 끝은: '화수미제(火水未濟)'

첫번째 글에서 ‘천산둔’ 괘가 경고한 교만함, 두번째 글에서 ‘택화혁’ 괘가 보여준 무모한 혁명적 시도, 그리고 세번째 글에서 ‘수뢰둔’ 괘가 상징한 혼란과 난관. 이 모든 여정의 끝은 결국 주역의 마지막 괘, ‘화수미제(火水未濟)’로 귀결되었다. ‘미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어떤 것도 온전히 마무리 짓지 못하고, 모든 것이 불완전한

[주역이 들려주는 12.3 계엄(3)] 민주주의에 막히다: '수뢰둔(水雷屯)'

앞에서 우리는 윤석열 정부가 무모한 '혁명'을 꾀하며 '택화혁' 괘의 지혜를 외면했음을 살펴보았다. 성급하고 준비되지 않은 반민주적 혁명적 시도는 결국 파국으로 치달았다. 그리고 그 파국이 남긴 것은 극심한 혼란과 정체, 곧 주역의 '수뢰둔(水雷屯)' 괘가 상징하는 난관과 혼돈의 상황이었다. '둔(屯)'은